카테고리 없음
4.5일제 근무, 도입한 기업들은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?
le soleil-c
2025. 4. 21. 06:02
반응형
주 4.5일 근무제 실험, 그 성과와 한계
"금요일 오후, 이제 퇴근하셔도 됩니다!"
이 말 한마디가 직원들의 삶의 질을 바꾸고 있습니다.
2024년을 기점으로, 국내 일부 기업과 지자체가 실험적으로 주 4.5일 근무제를 도입하기 시작했고, 2025년 현재까지도 성과 중심 근무 + 직원 만족도 향상이라는 흐름 속에서 정착 가능성을 시험 중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4.5일제 근무를 실제로 도입한 사례, 이로 인한 변화, 주목할 장단점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
✅ 주 4.5일제 근무란?
- 기본 근무일은 월~금이나, 금요일은 반일(오전만 근무 또는 오후만 근무)
- 기존 주 5일제(40시간) 대비 35~37.5시간 내외로 조정
- 급여는 동일, 탄력근무 또는 집중근무제로 연계되기도 함
🔎 실제 사례 분석: 국내 4.5일제 도입 기업
1. 삼양식품 – 시범 운영 후 확대 검토
- 2023년 6월부터 시범 도입, 본사 사무직 대상
- 금요일 오후 근무를 없애고 집중근무제 전환
- ▶ 직원 만족도 85% 이상
- ▶ 업무 몰입도 상승, 퇴사율 감소
- 📌 이슈: 일부 부서 간 업무 조율 필요
2. 카페24 – ‘집중 근무제’와 병행 운영
- 매주 금요일 오후는 자율 시간으로 지정
- 탄력근무제와 결합하여 유연성 확대
- ▶ 팀별 자율 운영 → 성과 중심 평가 체계 정착
- 📌 이슈: 고객 응대 직군과 개발 조직 간 근무 형평성 논의
3. 서울 송파구청 – 공공기관 시범 도입
- 2024년 하반기부터 공무원 대상 시범 도입
- 금요일 오전 근무만 운영 후 퇴근
- ▶ 민원 대응은 별도 조정(교대 근무 활용)
- ▶ 직원 대상 조사 결과 “근무 만족도 + 효율 모두 증가”
- 📌 이슈: 공공 서비스 연속성 확보 필요
4. 중소 IT기업 중심의 자율 확대 추세
- 일부 스타트업, 플랫폼 기업에서도 자율적으로 시범 운영 중
- “금요일 오후는 ‘자기계발 타임’”으로 활용
- ▶ 신규 인재 유치에 긍정적 영향
- ▶ 회의 최소화 → 업무 집중 환경 형성
📈 4.5일제 근무제의 효과 분석
항목긍정적 영향유의할 점
업무 효율 | 집중도 향상, 회의 간소화 | 커뮤니케이션 공백 가능성 |
직원 만족도 | 워라밸 개선, 이직률 감소 | 직무 간 불균형 우려 |
브랜드 이미지 | MZ세대 선호 기업 인식 | 실적 연계 지표 필요 |
조직문화 | 자율·책임 기반 조직 강화 | ‘쉬기 위한 근무’ 방지 시스템 필요 |
💡 도입을 고려 중인 기업/조직에 필요한 요소
- 업무 성과 기반 평가체계 정비
- 커뮤니케이션 도구/플랫폼 정비 (슬랙, 노션 등)
- 직무 특성에 따른 맞춤형 운영안 설계
-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유연한 휴가 제도 병행
- 고객 대응/민원 서비스 연속성 유지 방안 마련
🔮 전망: 주 4.5일제, 정착 가능성은?
- 현재는 시범 도입 단계지만, 업무 효율성 +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명확한 가치를 입증 중
- 2030년까지 주 4일제 전환의 중간 단계로 작용할 가능성 높음
- “성과 중심, 유연 근무 시대”의 핵심 제도로 주목